이상처리 절차, 낙하품 처리 절차
1. 이상이란?
; 일상 관리 기준을 벗어난 상황이 발생했을 때를 이상이라고 합니다. 제조업에서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가 여럿
있는데, 대표적으로는 3가지(품질이상, 설비이상, 자재이상) 경우를 많이 언급하는 편입니다.
2. 이상의 종류 및 처리 flow
1) 품질이상
① 품질이상의 내용
-. 작업표준대로 작업이 되지 않을 때
-. 부적합품이 발견되었을 때
-. 규격이 틀린 상이품이 발견되었을 때
② 품질이상처리 flow
; 부적합(품) 발견(라인정지 → 격리식별) → 해당팀 통보 → 부적합품 조치협의(선별, 재작업, 특채, 폐기)
→ 판정 → 폐기, 특채 or 선별 재작업 → 재검사 → 시정조치→유효성평가/사후관리
2) 설비이상
① 설비이상의 내용
-. 설비 작동불량, 돌발정지가 발생했을 때
-. 설비 일상 관리기준을 벗어났을 때
② 설비이상처리 flow
▶ 설비이상 발생 → 생산, 생기팀장보고 → 고객대응 및 수리방안 협의(관련팀) → 구매처 및 전문업체
수리요청 → 수리완료 재발방지 대책 수립
▶ 설비이상 발생 → 생산, 생기팀장보고 →고객대응 및 수리방안 협의(관련팀) → 대체설비 작업실시 or
동종업체생산 → 고객대응 물량확보
③ 설비가동 중단 후, 재가동시 업무처리절차
▶ 계획 - 중식, 오전, 오후 휴식시간, 석식(잔업 시), 사내교육 : 조, 반장 승인 후 재가동
- 설비정기점검 : 재가동 후 초기 품질확인 → 생산, 품질 승인 후, 재가동
▶ 비계획 - 설비고장수리, lot성 치수, 외관불량 발생 : 비가동 전 재공품 격리조치 → 재가동 후 초기품질
확인 → 생산, 품질 승인 후 재가동
3) 자재이상
① 자재이상의 내용
-. 자재 결품이 발생했을 때
② 자재이상처리 flow
▶ 자재결품 발생(라인정지→비가동등록) → 해당팀 통보→ 해당업체 결품 통보 및 대체방안 수립
→ 라인대체가동
▶ 자재결품 발생(라인정지→비가동등록) → 해당팀 통보→ 해당업체 결품 통보 및 대체방안 수립
→ 자재긴급 입고 → 고객대응 물량확보 →해당업체 개선대책접수 → 비가동 클레임통보
4) 주의사항
-. 이상 발생 시 임의대로 처리하지 말고, 반드시 비상연락망을 통해 담당자에게 연락하여 조치를 받을 것.
-. 이상 발생 시 발견자는 10분 이내에 상사에게 보고를 하고 지시를 받도록 해야 합니다.
3. 낙하품 처리 절차
1) 운반 중 대량 낙하품 처리요령
no | 처리단계 | 처리요령 |
1 | 제품 낙하 발생 | 낙하품을 확인한다. |
2 | 통행차단 | 주위를 통제한다. |
3 | 제품수거 | 낙하품을 분리하여 수거한다. |
4 | 부적합 tag부착 | 검사후, 외관상 결함이 생긴 제품은 부적합tag를 부착한다. |
5 | 제품격리 | 부적합tag를 붙인 제품을 '공정부적합 대기장소'에 격리보관한다. |
6 | 품질팀에 신고 | 품질팀에 신고한다. |
2) 작업 중 제품 낙하 예방법
-. 용기에 지정된 정량을 관리한다.
-. 정위치에 제품을 안전하게 보관한다.
-. 제품을 잡을 때에는 안정되게 잡는다.
-. 바닥 및 이동 통로에 기름이나 미끄러운 지역이 있는지 주의한다.
3) 운반 중 제품낙하 예방법
-. 용기에 지정된 정량을 관리한다.
-. 용기운반 시 미끄럼 방지 장갑을 낀다.
-. 운반시에는 안정된 자세로 이동한다.
-. 운반 및 이동통로를 항상 확보한다.